그들은 왜 일본군 ‘위안부’를 공격하는가 - 강제연행, 고노 담화, 국민기금을 둘러싼 논쟁의 핵심을 말한다

그들은 왜 일본군 ‘위안부’를 공격하는가 - 10점
전쟁과 여성 대상 폭력에 반대하는 연구행동센터 엮음,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번역기획/휴머니스트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한국과 일본을 넘어 국제 사회의 화두가 된 지 23년이 지났지만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일본에서는 해결은커녕 일본군 ‘위안부’를 공격하는 우익적인 사회 현상이 더 심화되고 있다. 무엇 때문일까· 《그들은 왜 일본군 ‘위안부’를 공격하는가》(원제:「慰安婦」バッシングを越えて-「河野談話」と日本の責任)는 이러한 질문에서 시작한다. 이 책은 ‘고노 담화’를 비롯해 강제연행, 국민기금 등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본질적인 논쟁의 핵심을 차분하게 들려준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일반인에게 처음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91년이다. 이해 8월, 지금은 고인이 된 당시 67세의 김학순 할머니가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처음으로 증언하며 역사의 저편에 묻혀 있던 아픔의 기억을 현재의 역사로 불러들였다. 그로부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싸고 일본 정부의 사죄와 배상을 요구하는 운동이 시작되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1993년 8월, 당시 고노 요헤이 일본 관방장관은 일본군 ‘위안부’의 모집, 이송, 관리에 일본 정부가 관여했음을 명백히 밝힌 담화(고노 담화)를 발표했으며, 이로써 일본군 ‘위안부’ 논의는 한 걸음 진전을 보인 듯했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요구하는 국제 사회의 동향과는 반대로 ‘위안부’ 강제연행을 부정하는 우익세력의 움직임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일본 총리를 포함한 정치가들의 “위안부 연행의 강제성을 보여주는 증거는 없다” “위안부는 공창이다” 같은 망언뿐 아니라 이와 비등한 수준의 일본 넷 우익의 폭언은 논리적인 이해 차원을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기획된 이 책은 한국인도 잘 알지 못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쟁점들을 정리하고 현주소를 날카롭게 분석 · 비판함으로써 진정한 사죄와 배상, 정의의 실현이란 무엇인지 통찰케 한다. 
한국인들에게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역사적 감수성을 진단하는 리트머스 시험지로 자리 잡았지만, 대다수의 한국인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과 논쟁의 핵심, 그리고 문제 해결을 가로막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잘 모른다. ‘위안부’ 문제는 ‘한일협정으로 해결되었으니 사죄와 배상을 받을 필요가 없다’는 역사인식을 지닌 사람이 국무총리 후보자로 추대되기까지 하는 형국은 일본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왜곡되거나 망각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쟁, 여성, 제국, 젠더 등 다양한 시각과 의견이 난무하는 가운데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이 무엇이고, 이를 위한 양국의 노력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지에 대한 일본의 시민단체와 학자의 양심적인 목소리를 들려줌으로써 한국과 일본 두 나라의 역사 화해를 위해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더불어 인간성 회복에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함께 고군분투하는 두 나라 시민운동의 깊은 연대와 활동 속에서 태어난 이 책은 한국과 일본의 바람직한 역사 화해를 향해 한 걸음 더 내딛는 역할을 할 것이다.